부마카세
구독하기
❗️끝없이 올라가는 가계부채, OECD 압도적 1위
2023. 7. 26.
❗️끝없이 올라가는 가계부채, OECD 압도적 1위
🏡 투자의 모든 결정과 책임은 본인에게 따릅니다.
길고 긴 부동산 유튜브,
'나중에 볼 영상'에 저장해놓고 보지 않으신다면
핵심만 간추린 부동산 오마카세로 간단하게 공부하시지요!
* 모든 내용은 각 유튜브 영상의 입장이며,
정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원하신다면
영상을 직접 확인해주세요!
(
밑줄
을 클릭하면 영상 및 기사로 연결됩니다.)
🍣 오
늘의 부동산 오마카세
한해 소득으로 빚도 못 갚는 나라, 한국
끝없이 올라가는 가계부채, OECD 압도적 1위
가계부채는 이렇게 봐야 합니다!
모르는 개념은 여기서 확인!
기준금리 :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 금리. 통화량이나 물가, 또 다른 금리에 영향을 줌
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: 미국의 부동산 버블이 꺼진 후 저소득층 대출자들이 돈을 갚지 못하자, 2007년 미국의 대형 모기지 회사들이 파산하며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진 사건
서브프라임 모기지란?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상품
가처분 소득 : 개인 소득 중 소비/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
출처 : YTN
https://youtu.be/s_3rtmJRlL0
업로드 일자 : 23년 7월 22일 / 조회수 : 13만회 / 영상길이 : 6분 23초
◾️ 주요국 국내총생산(GDP) 대비 가계 부채 비율, 한국 1등
한국(102.2%) / 미국(73%) / 일본(65.2%) / 중국(63.6%)
34개국 중 유일하게 100% 넘어서..한 해 동안 벌어들인 국민소득으로 가계 빚을 갚지 못하는 유일한 나라
◾️ 가계신용 잔액 (1,867조 원) + 전세 보증금 (1,058조 3,000억원) = 2,925조 3,000억 원
가계 부채에 포함 되지 않은 '전세 보증금'까지 합치면 2위와의 격차는 더 벌어짐
전세보증금 17년 말 (770조원 9,000원)
▶ 22년 말 (1,058조 3,000억원)
5년만에 287조 4,000억 원, 전세보증금 37.3% 증가
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 최고가 시기는 2021년 9월, 2년 전세 만기가 올해 9월부터 시작
즉, 역전세 우려가 더욱 현실화
◾️ DSR 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 한국 13.6%로 2등
'소득에서 부채 원금과 이자 상환을 얼마나 하냐'의 지표
국제통화기금(IMF), 한국에 '가계부채위험' 경고
◾️ 한국의 가계부채는 왜 늘었을까?
공급(은행) 입장 : 기업 대출에 비해 가계 대출이 수익률 좋음
수요자 입장 : 빚을 쉽게 지고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음
기업 : 은행이 아니더라도 자금 충당할 곳 많음
◾️ 한국은행, "가계부채가 금융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"
하지만 장기적으로 가계부채 지금과 같은 수준이라면 소비 위축, 자원 배분 효율성 ▼.. 결국 성장률 하락과 자산 불평등 심화
출처 : 슈카월드
https://youtu.be/WHGRWSaS6SU
업로드 일자 : 23년 7월 17일 / 조회수 : 86만회 / 영상길이 : 33분 59초
◾️ 기준금리 3.5%로 동결
한국은행 총재가 말하는 기준 금리를 동결 이유
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
물가와 가계부채 추이를 감안
◾️ 단기적으로 금리를 올려서 조정하려고 하니..
부동산 PF 문제, 새마을금고 문제, 역전세난 등의 문제가 발생
중장기적으로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줄이는 거시적 대응이 필요
◾️ 현재 가계 부채는 전세보증금을 제외한 수치
만약 전세대출을 통계에 포함한다고 하면, 156% (ORCD 평균 = 64.9%)
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압도적 1위 (303.7% - 전세대출 포함)
◾️ 대한민국에서 모든 자금이 레버리지로 몰리는 곳은 부동산
금리 3.5%로 동결했더니 3개월동안 가계부채가 늘어남
부동산 상승을 기대하는 목적의 주택담보대출을 많이 받았을 가능성이 큼
물가가 안정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화폐가치 하락이 눈에 보임
그렇기 때문에 큰 돈을 투자하는 곳은 주로 부동산
출처 : 이효석 아카데미
https://youtu.be/FzWXNz6hueo
업로드 일자 : 23년 7월 17일 / 조회수 3.6만회 / 영상길이 : 10분 36초
◾️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, 미국과 한국을 비교하면?
미국의 경우, 소득이 없는 사람도 대출을 많이 받음
한국의 경우, 소득이 많을수록 대출을 많이 받음
그렇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거나 대출이 많아도 버틸 수 있음
◾️ 하지만 가계부채는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담을 줌
해외 수출 목적의 대출 확대 (=교역재 부문의 신용 확대)는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
부동산 구입 목적의 대출 등 가계 부문의 신용확대는 경제성장을 저해한다
◾️ 또한 가계부채는 불평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
가계 부채가 있는 가구가 없는 가구에 비해 순자산 증가가 확대됨
그렇기 때문에 경제적 양극화 심화
◾️ 해결책은?
은행의 대출이 가계에 집중되지 않도록
가계부문 경기대응완충자본
적립
DSR 예외 대상 축소
LTV 수준별 차등 금리 : LTV가 높을수록 금리도 높게
주인장의 주저리 주저리..
부산시에서 모집하는 저축 정책인
부산청년 기쁨두배 통장
을 신청했어요.
(30만원 저축하면, 부산시가 30만원 더 얹어줌!)
지자체별로 다양한 정책을 진행하니,
한 번씩 지자체 홈페이지에 방문해보는 것을 추천해요!
오늘의 부마카세는 어떠셨나요?
지인에게 부마카세를 소개하고 싶다면?
부마카세 별점 리뷰 남기기
부마카세 공유하기
부마카세
bumakase@aimypie.com
수신거부
Unsubscribe
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?
공유하기
부마카세
를
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
🏠 구독하시면 부동산 유튜브 5줄 요약을 무료로 볼 수 있어요 🍣
구독하기
이전 뉴스레터
🧐 2023 하반기 부동산 정책 발표! 역전세 대처 방안 포함!
2023. 7. 12.
다음 뉴스레터
🔹 우리집 시세 모르는 부린이들 주목! 부동산 공부법 총정리 3
2023. 8. 9.
부마카세
🏠 구독하시면 부동산 유튜브 5줄 요약을 무료로 볼 수 있어요 🍣
이 페이지는 스티비로 만들었습니다.